지난 10일 오후 7시반쯤 학생 한 명이 한강에 빠져 애타게 구조를 요청하고 있었습니다. 물에 빠진 뒤 시간이 흐른 상태였는지 허우적대는 학생의 몸부림도 점점 작아져 가고 있었습니다.
비슷한 시간대, 김시영(47)씨는 한강 노들섬에서 산책을 하고 있었습니다. 여유롭게 걷고 있던 그때 김씨의 귀에 한 시민의 통화 소리가 들렸습니다. 한강에 사람이 빠져 허우적대고 있다는 것입니다.
처음엔 물에 빠졌단 행인의 말에 이 남자는 ‘설마 누군가 구하겠지’ 했다가, A양 근처에는 애처롭게 상황을 바라보는 할아버지 한 분만 있었습니다.
나이가 있어 직접 구조를 하지 못하고 있던 할아버지는 애타는 마음에 김씨에게 “얼른 물에 들어가서 학생을 구해줘”라고 절박하게 말했다고 합니다.
김씨는 일단 할아버지를 진정시키곤 상황 파악에 나섰습니다. 평소 응급상황 대처 영상으로 응급조치 요령을 터득한 덕분에 섣불리 들어가다간 두 사람 모두 목숨을 잃을 수 있기에 신중하게 판단했습니다.
A양이 물에 빠진 지점과 자신의 거리가 대략 2.5~3m가량 된다는 것을 파악 후 김씨는 허리띠를 풀고, 크로스백 가방을 길게 늘여 이 둘을 연결했습니다. A양을 구조할 수 있는 줄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잠시후 그는 있는 자리에서 100m 정도 전력 질주해서 A양이 빠진 한강대교 아래 강가 부근까지 다가가 허리띠 줄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A양과의 거리가 멀어 김씨는 콘드리트 바닥에 엎드려 최대한 A양이 잡을 수 있도록 줄을 보냈습니다.
김씨는 “야! 정신 차려 당황하지 말고 줄 꽉 잡아” 라며 점점 힘이 빠져 정신을 잃으려는 A양에게 크게 외쳤습니다. 다행히 A양은 줄을 잡았고, 김씨는 A양을 강변 콘크리트 벽 쪽으로 끌어당겼습니다.
김씨는 A양을 물 밖으로 꺼내려 했지만 혼자만의 힘으로는 무리였습니다. 김씨는 있는 힘껏 “도와주세요!”라며 주변에 소리쳤습니다.
그때, 누군가 119에 신고 후 주위 주민들과 함께 A양을 끌어 올렸습니다. 땅에 올라온 뒤 학생은 손을 덜덜덜 떨었습니다.
작은 돗자리를 팔뚝에 대어 상처가 안 나도록 신경 쓰며 저체온증이 오지 않도록 아주머니들이 A양 몸의 물기를 닦고, 손을 잡고 마사지하며 구급차를 기다렸습니다.
불과 10분도 안 되어 한강에서 배가 한 척 오고, 구급차가 오고, 경찰이 왔습니다. 그렇게 A양은 무사히 병원으로 이송됐고, 찬란한 미래를 계속해서 꿈꿀 수 있게 됐습니다.
김 씨는 구급차가 떠나고 다시 산책하는데 그제야 심장이 ‘쿵쿵쿵’하며 뛰었다고 하는데 그렇게 한 명의 귀한 생명을 구한 김씨는 A양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쓸려 상처가 나고, 어깨에 멍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는 “생명을 구하느라 생긴 건데… 영광의 상처죠”라며 담담하게 말했습니다.
김씨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소중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어 행복했다’고 남긴 한마디가 마음을 울립니다. 김씨의 말처럼 크고 작은 일에서 우리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더불어서 살아가니까요. 우리도 이웃에게 손 내미는 용기로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가슴속에 새겨보는 건 어떨까요.
Desk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