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후손이자 재일교포 출신인 허미미(21) 선수는 포르투갈 알마다에서 열린 2023 국제유도 그랑프리에서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작년 세계 선수권 챔피언인 브라질의 하파엘라 시우바를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허미미 선수의 금메달이 더욱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허미미 선수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으로 제일 교포입니다. 하지만 일본 국적을 포기하고 한국 국가대표가 된 이후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일본에서 선수로 활약할 때도 워낙 저력이 있는 선수였지만 최근 허미미의 실력은 가파르게 상승 중입니다. 사실 체육계에서 허미미 선수만큼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가진 선수도 드물다고 합니다.
허미미는 2002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고 아버지는 한국 국적 어머니는 일본 국적이었습니다. 유도 선수 출신 아버지를 따라 6세 때 처음 도복을 입었다고 합니다.
타고난 힘과 센스로 중학교 3학년 때 1000여명이 출전한 일본 중학 유도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히며 ‘유도 천재’라는 별명을 얻고 고교 시절에도 줄 곧 톱3 안에 들은 선수라고 합니다.
일본 중학 유도 선수권 여자부 우승 경력을 갖고 있는 유독의 유망주였기 때문에 명문 와세다 대학 스포츠과학부에 입학할 때만 해도 일본의 유도 선수로 살아갈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 국적이었던 할머니 유언에 따라 일본 국적을 포기한 뒤 경북체육회 유도팀에 입단했고 지난 2월 한국 국가대표팀 선발전을 통해 한국유도 국가대표가 됐습니다.
할머니는 여러 차례 손녀 허민이가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는데 허 선수가 이를 기억하고 있었고, 결국 일본 최고 엘리트 유도 선수의 길을 걷던 그녀는 한국인으로 살기로 결심 경북체육회에 입단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허미미 선수가 경북체육회를 선택한 이유도 있습니다. 허미미는 일제강점기 경북 지역에서 항일 경문을 붙이다 일본 경찰에 체포돼 옥고를 치렀던 독립투사 허석의 후손이기 때문입니다.
허석은 1991년 건국 훈장 애국장에 추서됐고 경북 군위군의 순국기념비도 있는 독립운동가인데요.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 국적을 회복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는 설명만으로도 화제가 될 만한데 여기에 실력까지 출중해 한국의 금메달을 안겼으니 그야말로 인생 자체가 한 편의 드라마라고 해도 손색이 없는 이야기입니다.
한국 국가대표가 된 이후의 길은 오로지 허미미 선수 본인의 실력으로 이끌어 왔습니다. 김미정 선수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 72킬로그램급 금메달을 따내 한국 여자 유도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로 금맥이 끊겼습니다.
이후 결승전까지 간 사례도 없이 동메달만 4개에 그쳤고 2004년과 2012년에는 노메달의 수모도 겪었습니다. 그래서 더욱더 2002년생 유도천재 허미미의 등장에 한국유도계가 술렁이고 있는 것입니다.
더구나 유도는 한일전이 벌어지기 쉬운 종목인데요. 독립운동가의 후손으로서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끈질긴 근성과 체력 여기에 국제 무대에서 쌓은 기량이 더해진다면 허미미 선수의 올림픽 금메달도 희망사항만은 아닐 것 같습니다.
허미미 선수의 꿈은 2년 뒤 파리 올림픽에서 태극마크를 달고 금메달을 따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그는 “현조 할아버지 순국기념비 앞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다짐했다”며 두 주먹을 불끈 쥐었습니다.
허미미는 놀라운 실력과는 다르게 귀여운 여대생의 모습도 알려지며 화제가 되었는데요. 소녀답게 세계적인 그룹 BTS의 노래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그녀는 “지치고 힘들 때 BTS 노래를 틀고 흥얼거린다. 금세 긍정 에너지가 솟아 기운을 차린다. 유도 선수로 유명해지면 BTS를 만날 수 있는 날이 노지 않을까”라며 웃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