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아직 따듯하신 분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추운 날씨 속에서도 훈훈한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는데요. 지적장애로 생활고를 겪으며 힘들게 살아오던 노숙인이 인근 동네 약사의 도움으로 새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미담 주인공은 바로 창신동 골목 모퉁이에서 35년간 약국을 운영해 오신 최윤혜 약사님입니다.
약사님은 약국 창문 너머로 분주히 움직이는 50대 노숙인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노숙인은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리어카를 끌고 골목을 오가며 부지런히 폐지와 박스를 모아 생계를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최 약사는 어떻게든 혼자 힘으로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남성의 마음이 너무 예뻤고 노숙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습니다.
노숙인의 이름은 최재만 씨였는데요. 하지만 그는 어딘가 불편해 보였습니다. 최재만씨의 나이는 55살이지만 초등학생 수준의 지능을 갖고 있고 청각 장애까지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재만 씨는 주민센터에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서울역에서 노숙하다 창신동으로 온 그는 주소지가 용산구로 되어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최 약사는 노숙인 최 씨를 위해 쪽방촌을 운영하는 사장님에게 부탁해 월세 25만 원짜리 방부터 얻어주고 전입신고를 도와주셨습니다.
약사님의 도움으로 창신동 주민이 된 최재만 씨는 월 세 25만 원과 생필품이 나오기 시작해 이전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되었는데요.
그런데 문제 약사님이 재만 씨를 도와주는 상황에서 어러움에 부딪히게 됩니다. 그가 장애가 있는 점을 이용해 부당한 이익을 본 사람들이 있었던 것입니다.
심지어 재만 씨가 지원금을 받을 통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그가 한 통신사 대리점에서 사기를 당한 사실도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결합상품이 13개나 가입돼 사용료만 무려 5백만 원 넘게 밀렸는데 혜화경찰서에 직접 고소장을 써줘 150만 원은 돌려받았다고 합니다.
가장 필요한 건 ‘장애인 등록증’이었습니다. 장애 진단서를 포함해 각종 서류를 준비해 제출했지만 국민연금공단은 “선천적인 장애라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며 보완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재만 씨에겐 가족이 없어 과거 자료를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약사님은 기필코 재만 씨를 도와주겠다는 일념으로 재만 씨의 일생을 직접 물어서 글로 정리하고 주민센터에 관련 자료를 보충해 제출하고서야 6개월 만에 장애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최재만 씨는 30살 이전의 기억은 거의 없는 데다 봉제공장과 가방공장을 전전하며 지내다 2006년 39살쯤 신안 염전에 끌려가 강제 노역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당시 염전 노예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화제되면서 염전에서 풀려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재만씨는 타 지역에서 일하다 2020년 2월 서울역에서 노숙하다 창신동으로 들어와 최윤혜 약사님을 만났습니다.
이 모든 노력은 최 약사님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 같은데요 이로써 최재만씨는 창신동 주민이 되어 사회자약자로 혜택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편 최약사님은 “저런 분들이 많을 거라는 생각을 해요. 나라에서 요구하는 자료도 엄청 많아가지고….”라고 말했습니다.
국내 장애인구 중 재민 씨처럼 장애등록을 하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은 전체 약 5% 무려 12만 명이 넘을 걸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조사결과, 등록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청 방법을 몰라서’가 31%로 가장 많았고 17%는 ‘등록과정이 번거로워서’라고 합니다.
이 따듯한 이야기를 취재하던 MBC 취재진이 최 약사님은 “개인적인 선행으로 알려지는 건 원치 않는다”라며 “적극적인 행정과 간고한 절차로 소외되는 이들이 없기 바란다”는 부탁을 전했습니다.
Desktop*